정리하는 공간
리눅스)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1. 이론) 본문
반응형
[ 기본정리 ] 리눅스 시스템 부팅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과정은 크게 PC 부팅과 리눅스 부팅으로 나뉜다. 다시 말 하자면 리눅스가 설치된 하드웨어의 부팅과 리눅스 운영체제의 부팅 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 1. 바이오스 단계 전
rrhh234cm.tistory.com
여기에 잘 나와있다.. 차이점은 systemd로 부팅 되는 것.
1.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과정
전원 ON |
바이오스 단계 |
부트로더 단계 |
커널 초기화 단계 |
systemd 서비스단계 |
로그인 프롬프트 출력 |
PC 부팅 | 리눅스 부팅 |
바이오스 단계
전원 ON |
하드웨어 검사 |
부팅 장치 선택 |
MBR 로드 |
부트 로더 로드 |
부트 로더 단계 |
- 컴퓨터를 키면 제일 먼저 시작
- 하드웨어를 검사하고, 부팅장치를 선택, 어떤 MBR로 갈지 선택하고, 메모리에 올라가면 부트 로더
- 커널 이미지 메모리에 할당 (그루브)
- 부트로더는 그루브와 같은 개념(어떤 디스크로 부팅이 가능한지)
부트로더 단계
커널 초기화 단계
- 커널은 가장 먼저 시스템에 연결된 메모리,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장치를 검사한다.
- 초기화 과정이 끝나면 fork를 사용하지 않고 생성되는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생성한다
- 이 프로세스들은 메모리 관리와 같은 커널의 여러가지 동작을 수행한다.
systemd 서비스 단계
데몬 프로세스로, 주기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한다. 1번 프로세스
기존의 init 을 systemd가 대체했다.
부팅 시 출력되는 메시지는 dmesg 명령이나 more/var/log/boot.log 명령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부팅이 되면 1번 프로세스인 systemd가 동작한다.
기존 init 프로세스
/etc/rc.d/init.d 에 init 프로세스 스크립트 파일이 있다.
/etc/rc*.d 디렉터리 파일들은 위 파일에 대한 심벌릭 링크.
LIST
'리눅스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3 (데몬 프로세스) (0) | 2022.05.12 |
---|---|
리눅스)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2. init, systemd, systemctl, journalctl (0) | 2022.05.12 |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하기 (1) | 2022.05.12 |
리눅스) 소스코드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 (NCFTP) (0) | 2022.05.12 |
리눅스) 컴파일, 라이브러리 파일, makefile 간단 이론 정리 (0) | 2022.05.1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