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정리하는 공간

리눅스) 컴파일, 라이브러리 파일, makefile 간단 이론 정리 본문

리눅스 기초

리눅스) 컴파일, 라이브러리 파일, makefile 간단 이론 정리

개구리집 2022. 5. 12. 10:18
반응형

컴파일 

 

소스파일을 컴파일러를 이용해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이다.

 

번역 과정에서 c언어 문법에 맞지 않거나 표준을 따르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나 경고를 발생한다.

 

문제가 없다면 기계어로 번역된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이런 과정이 컴파일이다.

 

 

 

소스코드가 링크가 걸려 압축된 파일이 웹사이트나 저장소에 타르파일로 올라간다. 

 

이 압축파일을 받고 풀면, 수 십개의 소스코드들이 디렉터리에 생긴다. 그 중 makefile 도 생기게 된다.

 

여기서 makefile은 각 파일을 필요한 디렉터리로 위치시키는 도면과 같다.

 

이런 과정들이 컴파일이다.

 

 

 

라이브러리 파일

 

소스코드에 넣을 파일의 덩치를 줄이기 위해 링크를 거는 것이다.

 

100개의 소스코드가 있다면, 해당 코드에 1000개 이상의 파일을 넣어야 소스코드들이 모여서 프로그램이 된다.

 

이때 프로그램의 덩치가 커지게 될텐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1000개 이상의 파일 대신 1000개의 파일을 읽을 수 있는 

 

링크를 거는 것이 라이브러리 파일이다.

 

 

makefile

 

프로그램들이 동작할 때 필요한 각각의 소스파일들이 원활히 조합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설계도와 같다.

 

 

 

 

 

 

LIST
Comments